책소개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창조한다. 미디어의 출현과 수용 현상을 연구하는 일은 우리 사회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는 핵심이다. 이 책은 한국사회에 새로운 미디어가 출현하고 보급되는 과정과 이로부터 형성된 수용자의 특성을 설명한다. 신문, 잡지, 라디오, 텔레비전 등 새로운 매체의 수용 과정과 도입 양상, 이로부터 형성된 새로운 사회 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그 의미를 역사적 전개 과정을 따라 살펴본다.
200자평
우리나라에 신문, 잡지, 서적, 라디오, 텔레비전은 언제, 어떻게 등장했을까? 최초의 근대 신문이 등장한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와 미군 점령기를 거쳐 텔레비전이 확산된 1970년대까지 한국사회의 미디어 출현과 수용 현상을 고찰한다. 각 시기의 매체 보급 실태와 수용 양상을 살펴 미디어가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사회적·역사적으로 분석한다.
지은이
김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전문위원으로 일했고, 이화여대 언론홍보영상학부,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한양대 신문방송학과에 출강했다. 한국언론학회 이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이사, 감사, 한국언론학보 편집위원을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책임연구원 겸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는 “한국전쟁기간 삐라의 설득커뮤니케이션”(2008), “한국전쟁기간 북한의 대남한 언론활동: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를 중심으로”(2007), “한국의 언론사 교육 현황과 과제”(2007), “한국의 커뮤니케이션사 연구동향과 과제: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2005), “역사적 접근방법으로서의 매체이론(medium theory): 연구경향과 시사점” (2004) 등이 있다. 저서로는 『한국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공저, 2008), 『광복과 한국 현대 언론의 형성』(공저, 2006), 『戰爭·ラジオ·記憶』(공저, 2006)이 있다.
차례
머리말
서론: 한국사회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과 수용 역사
엘리트 단계
대중화 단계
전문화 단계
주요 미디어의 대중화 진입 기간
1장 개화기 인쇄매체의 등장과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매체의 출현과 사회 변화
조선시대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특성
개화기 매개된 공공영역의 형성과 발전
개화기 자아 형성과 인쇄매체
개화기 인쇄매체의 사회적 역할
2장 개화기 신문독자의 신문 인식과 접촉: ≪대한매일신보≫ 독자를 중심으로
개화기 신문과 신문독자의 형성
≪대한매일신보≫ 독자의 신문 접촉 행동
≪대한매일신보≫의 독자투고-기서 분석
≪대한매일신보≫ 독자의 신문 인식
≪대한매일신보≫의 역사적 역할
3장 일제 강점기 신문 접촉 양상
일제 강점기 신문과 독자
일제 강점기 신문독자의 사회적 성격
신문 발행부수와 보급부수를 통해 본 접촉 경향
일제 강점기 신문 접촉 경향의 성격
4장 일제 강점기 라디오의 출현과 청취자
새로운 매체, 라디오의 출현
라디오 소개 과정
라디오 접촉의 사회적 조건
라디오 청취자 규모와 성격
라디오 수용의 커뮤니케이션 현상
일제 강점기 라디오 매체 출현의 의미
5장 미군정기 미디어 보급과 접촉
미군정기 미디어 수용 연구의 의의
해방 이전 미디어 보급과 수용 현상
미군정기 미디어 보급 실태와 특징
미군정기 수용자의 미디어 접촉 실태
미군정기 미디어 접촉의 특징과 영향
6장 미군정기 농촌주민과 미디어
미군정기 농촌 지역과 미디어 수용자
농촌주민의 미디어 접촉 양상
미군정기 농촌주민과 미디어
7장 제1공화국 시기 미디어와 수용자
제1공화국 시기의 미디어 발달사적 의미
제1공화국 시기 주요 매체의 보급과 접촉 양상
제1공화국 시기 수용자의 매체 접촉의 주요 경향
제1공화국 시기 미디어와 수용자
8장 한국의 방송매체 출현과 수용 현상
방송매체와 수용자 형성
일제 시기 라디오 방송의 출현과 라디오 접촉
미군정기의 라디오 수신기 보급과 접촉
제1공화국 시기 이후 라디오 수신기 보급
제1공화국 시기 라디오 방송 접촉
텔레비전 방송의 출현과 보급 양상
1960년대 이후 방송매체 접촉
방송매체와 한국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환경
9장 한국 라디오 시기의 라디오 수용 현상
라디오 지배매체 시기의 대두
라디오 수신기의 보급과 보급 확대 요인
라디오의 접촉 경향과 청취자의 특성
라디오 수용과 그 의미
라디오 시기의 역사적 의의
찾아보기
책속으로
갑신정변이 일어나 박문국이 철폐되고 순보가 간행되지 않게 되자 상하관민이 모두 말하기를 사람의 정은 보는 바에 따라 옮겨감이 참으로 심한 것이로다. 과거 순보가 창간되지 않았을 적에는 불편한 것을 모르고 지냈더니 순보가 간행되다가 중단되니 겨우 틔었던 이목이 다시 어두워지는 것 같다고 하며 모든 사람들이 간행을 바라고 폐간을 바라지 않았다.
_ ‘≪한성주보≫ 1886년 1월 25일 창간호 ‘주보서’’ 중에서
잡지가 나오자마자 매진되고 말았으니 그때의 흥분을 평생토록 잊을 수 없다.
_ ‘조상원, ≪건국공론≫ 발행인’ 중에서
한번 라듸오를 논 사람은 여기에 말하자면 인이 박히어 하로도 못 드르면 궁금할 만치 된 모양…동양의 조그만 반도에도 문명의 리기 앞에 옹기종기 모여서 라듸오로 오는 전파에 희로애락을 맛기고 있는 셈
_ ‘≪조광≫ 3호, 1936년’ 중에서
살인적인 더위에도 영화관은 언제나 초만원이다.
_ ‘≪독립신보≫ 1947년 8월 19일’ 중에서
테레비 시대가 도래하면 우리의 사고방식에도 일대 변화가 오고야 말 것이다. 집 안에 앉아서 영화를 구경할 수 있고, 노랫가락을 들으면서 여류가수의 미추도 분별할 수 있는 ‘테레비’. 이것이 시대의 총아가 아니고 뭐랴.
_ ‘1956년 텔레비전 방송국 설립 소식을 전하는 신문’ 중에서